카테고리 없음
여러가지
물미역
2016. 11. 20. 18:39
1. 그땐 몰랐지.
석사 때까지만 하더라도 논문은 일종의 산문이라고 생각했어.
일단 글자가 많고 분량이 길잖아.
근데 공부를 하면 할 수록 논문은 산문 보다는 시에 더 가까운 거였다.
단어 하나하나를 정제하고 함축적 의미를 부여해서 하나의 논리의 흐름을 만들어 가는 거라서,
문장 하나하나를 엄청 조심해서 써야 하는 거였지.
공학 분야 논문은 좀 다를 것 같은데, 사회 과학 분야는 논리에 논리에 논리를 쌓아가는 뭐 그런거라서 엄청 머리 써야 하는 것이었음..
결론은 잘 못하겠다는 것.;;
2. 멍
매주 영어 논문 두서너다섯개씩 분석하느라 2개월 정도 정말 쉴틈이 없었는데,
어찌된 셈인지 폭풍처럼 불어닥칠 기말고사 시즌을 앞두고,
말도 안되게 숙제가 하나밖에 없는 그야말로 여유로운 주말을 맞이하고 나니,
머랄까, 간만에 생긴 여유에 당최 뭘 해야 할지 몰라서,
괜히 운동하고 2017년 예산안이랑 계획 짜고 운동을 하루에 두번씩 가고 막 그랬다능.
그야말로 딩굴딩굴할 수 있는 맘편한 여유란 언제쯤 맞이할 수 있는가.
3. PT
PT가 좋은 몇가지 이유 중의 하나는,
PT 할 때는 윗몸일이키기 20번씩 3번 처럼,
트레이너가 지시하는 단기 목표만 시키는대로 하면 되다보니,
이게 묘하게 잡념이 없어지고 성취감도 생기고 그래서 시간이 정말 금방 간다.
잡념을 없애는 좋은 방법 없을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