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테면.

카테고리 없음 2016. 10. 12. 19:10

원서를 읽다보면 Public sphere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물론 Public 도 알고 Spere란 단어도 뜻을 알긴하지.

그런데 Public Sphere는 당최 먼말인지 모르겠는거야.

그래서 네이버 영어 사전을 찾아보면 공공권이래.

공공권이 먼지 아는 사람?

난 공공권이 먼지 모르거덩.

그래서 이번에는 네이버에 공공권이라는 단어를 검색해보는거야.

그러면 네이버는 전문용어사전 쪽에 있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보여주지.


공공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항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하고 정치적 의사를 형성하는 언론의 공간을 가리킨다. 특히, 비(非)국가적이고 비시장적인 영역으로서의 시민사회에 자발적으로 형성된 강제나 배제 없는 대화의 공간을 의미한다. 18세기 말 칸트(Immanuel Kant)는 공공권을 커뮤니케이션의 자유가 확보된 '이성의 공공적 사용'의 공간으로서 묘사하였다.
근대의 시민적 공공권에는 하버마스(Jürgen Habermas)가 지적한 바와 같이 국가(공권력)의 '공공성'에 저항하여 민간인이 형성한 대항적인 공간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것은 첫째로 정부의 활동을 감시하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컨트롤하는 기능, 둘째로 입법이나 정책을 둘러싼 결정을 사람들의 의사에 따라 적극적으로 근거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공공권이 합리적인 의사형성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국가나 시장의 특정한 영향력으로부터 가능한 자율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요구된다. 하버마스는 공공권에 있어서 합의형성의 계기를 강조하지만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공공권(공공적 공간)을 다른 견해에 기초한 논의가 교환되는 장으로서 보고 오히려 의견의 복수성(plurality)의 계기를 중시한다.
일본에서는 공공성을 국가의 활동영역과 동일시하는 사고 습관이 오랫동안 계속되었지만 그러한 견해가 의문시되어 정부나 관료가 정의하는 '공공성'이 비판적으로 반문되었다. 공공권은 정치적 의사결정이 특정의 이해ㆍ가치를 위해 형성되어 왔던 사태를 비판하면서 지금까지 사적이라고 간주되었던 문제를 공공적인 쟁점으로 재(再)수용하는 과정을 낳았다. 비판적 대화의 공간이 사람들간에 활발하게 형성되는 것이 민주적인 정치문화를 위한 조건이다.


이게 먼말이래.
씨바. 내가 욕이 나와 안나와..;;







Posted by 물미역
,